[24절기 이야기] 한로(寒露)

한로(寒露)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있는 절기로 1년 24절기 중 17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입니다. 한로일은 보통 양력으로는 10월 8일이나 10월 9일에 위치하게 되고요. 이러한 한로는 늦가을에서 초겨울 무렵까지의 이슬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이슬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러니까 한로는 이제 조금만 지나면 상강의 절기가 되고, 곧 서리가 내리게 된다면서 추위에 대해 경고를 하는 추임새 같은 절기라고 볼 수 있겠지요.
보통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의 여섯 절기를 가을의 절기로 보는데, 특히 한로부터는 가을 추위를 느낄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어느 때에는 강원도 지방과 같은 경우 첫 얼음이 얼었다는 소식이 한로보다 일찍 들려오기도 합니다. 문지방을 훌쩍 넘은 가을이 높은 하늘과 함께 황금빛 들녘으로 무르익고, 어설프게나마 겨울의 전조를 보여주는 것이 바로 한로가 아닌가 싶습니다.
한로는 특별한 행사가 들어 있는 절기와는 달리 기후를 알려주는 절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로를 맞아 진행되는 행사들이 딱히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러한 한로를 전후하여 국화전을 만들어 먹거나 국화술을 담그기도 합니다. 곡식이 무르익고 날씨가 화창하니 따로 명절을 두지 않아도 동네 사람들이 음식 등을 추렴해서 즐기기에 적당한 계절인 것이지요. 그러니 현대에도 추수를 끝낸 농촌의 아낙들이 시간을 내어 가을이면 버스를 빌려 놀러 다니게 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아직 추수를 끝내지 못한 농가에서는 남은 일을 하느라 바쁜 시기이기도 합니다. 봄볕에는 며느리를 내놓고 가을볕에는 딸을 내놓는다고 했던가요. 봄과 마찬가지로 가을의 낮도 햇볕이 강하기는 하지만 봄 보다는 낫다는 의미에서 이런 말이 생겼으리라 보입니다. 물론 과학적으로도 가을철에는 공기중의 습도량이 봄철보다 높아, 지상에 도달하는 일사량이 봄철에 비해 적다고 하니, 선조들의 말은 허투루 들을 일이 아닙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한로의 시기에는 아침과 밤의 기온차가 매우 큽니다. 갑작스럽게 추워진 날씨에 건강을 해치기 쉬운 계절인 것입니다. 특히 이때에는 호흡기와 관련한 질환에 주의를 기울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낮의 온기가 남아 있다고 해서 밤새 창문을 열어 놓고 주무시거나 하면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또한 실내 공기가 너무 건조해도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우니 적절하게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보통 이러한 절기에는 절기 음식이 있는데, 한로의 절기음식으로는 추어탕을 꼽을 수 있습니다. 추어탕은 양기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호흡기의 점막을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니 위에서 언급한 감기나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에 탁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조들이 한로의 절기음식으로 추어탕을 꼽은 것에도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절기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알아갈 때마다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면서도 동시에 그 이치를 적절하게 이용할 줄 알았던 선조들의 지혜에 감복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 : 산수도인>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