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 칼럼> 찾아가는 복지시대를 기대한다

오는 2018년까지는 전국 지자체 3천500여개 읍·면·동 주민센터에 맞춤형 복지팀이 신설된다. 현재도 읍·면·동사무소에 복지팀이 있으나 찾아오는 복지민원만 해결하던 것이 찾아가는 맞춤형 복지팀이 만들어지면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 했던 주민들에게는 생소할 것이다.

세간에 국민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마음을 아프게 했던 송파 세 모녀사건, 독거노인 고독사사건, 장애인의 생활고 비관 자살사건 등 요즘 우리가 접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볼 때 스스로 찾아오는 것을 기다리느냐, 아니면 먼저 찾아가서 도움의 손길을 주느냐 하는 차이일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사건 이후 복지의 사각지대 발굴, 찾아가는 복지 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쏟아내고 있지만 일선 읍·면·동에서는 따라가기가 벅차고 힘들다.
전국 평균적으로 읍·면·동의 복지공무원 1명이 기초생활수급자는 100여명, 차상위계층 등 각종 복지서비스 대상은 900여명으로 1,000여명을 담당하는 것이 현실이다.
중앙부처 사업과 지자체 복지사업의 신청, 접수 그에 따른 수많은 행정업무 이른바 복지 깔때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실제로 신청하지도 않은 위기와 곤경에 처할 것 같은 사람을 찾아가서 상담하고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불가능한 일이다.
맞춤형복지를 만드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읍·면·동에 3명이상으로 구성된 맞춤형복지팀을 만들어 스스로 찾아오지 않는 사람도 먼저 찾아 나서서 긴급복지, 기초생활 등 공적제도는 물론 민간지원까지도 연계해 생계지원은 물론 의료비지원, 청소, 집수리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지역주민의 복지욕구는 과거와 달리 복잡하고 다양해져 기존의 조직체계로는 대응하기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과거에는 의사 한명이 모든 질병을 치료해 왔지만 지금은 복잡한 치료인 경우 여러 분야의 전문의가 서로 협진하는 것처럼 사회복지에서도 다양한 전문가의 협진이 필요한 것이다.
일선 읍·면·동은 주민들이 국가나 지자체의 정책을 접하게 되는 최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읍·면·동의 역할에 따라 정책의 체감도와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읍·면·동의 복지허브화를 통해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가 무엇인지 먼저 찾아서 살펴보고, 복지혜택에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하는 진정한 의미의 따뜻한 복지를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