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치매환자 270만명 추정…관리 비용만도 106조원”

◇ 자료사진

전문가 “위험요인 잘 관리하면 환자 18% 줄일 수 있어”

2017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는 72만5천명(유병률 10.2%)으로 추산된다.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인 셈이다.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치매 환자는 2024년에는 100만명, 2041년에는 200만명을 넘어 2050년에는 271만명(유병률 15.1%)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치매 환자가 증가하면서 치매 환자 치료와 돌봄에 드는 경제적, 사회적 부담도 함께 커지고 있다.
1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의료비와 요양비,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까지 포함한 치매환자 1인당 관리비용은 2015년 2천만 원 수준으로, 전체 치매 환자에게 드는 비용은 국내총생산(GDP)의 0.9% 정도인 13조2천억 원이었다. 2050년에는 이 비용이 1인당 3천900만원, 전체 관리 비용은 GDP의 3.8%에 달하는 106조5천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연간 실종되는 치매환자 수도 2010년 6천596명에서 2016년 9천869명으로 1.5배 증가했고, 노인학대 사례 중 피해자가 치매 환자인 경우도 2011년 18.1%에서 2015년 27%로 늘었다.
전문가들은 치매를 예방하고 초기 단계에 발견해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경제·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치매의 사회적 부담과 예방 및 관리 방안’(고숙자 부연구위원 등) 보고서에 따르면 신체 비활동, 비만, 교육 수준, 흡연, 고혈압, 우울증, 당뇨병 등 7가지 치매 위험요인의 치매 유병 기여도는 18.02%로 확인됐다.
즉 나이나 성, 유전 요인 등은 바꿀 수 없지만 비만, 흡연, 고혈압 등 일반적인 건강 위험요인이자 변경 가능한 위험요인을 잘 관리하면 치매 발생을 18% 정도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특히 상대 위험도가 가장 높은 신체 비활동은 치매 발생에 끼치는 영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신체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치매 발생률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치매 예방과 함께 조기 검진을 통해 초기에 치매를 발견함으로써 중증으로 악화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다음 과제다. 따라서 치매 조기 검진 대상자를 확대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치매 관리 사업 전담 인력을 확충하며, 조기 검진 사업에 대한 비용과 효과를 분석하는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와 그에 따른 예산 배분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한, 인구 전체의 치매 위험요인을 줄이기 위해 건강 결정 요인을 폭넓게 인식하고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접근 방식을 개발하며, 예방 가능한 치매 위험요인에 대해서는 계층 간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용 위주의 사후 관리 정책을 넘어 치매나 인지 장애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인동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