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시] 돌의 부화

이영춘 돌은 부화할 수 없는가? 돌이 물속에 있다 물속에 있는 돌은 알까기가 가능하지 않는가? 돌은 자란다 물속에서 나는 아침마다 베란다 좌대에 앉아 있는 돌에 물을 준다 물속에서도 자라지 못하는 그림자...

[발행인 새해인사] “독자 여러분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지난 수개월 동안 강원장애인복지신문에 보내주신 장애인과 독자여러분의 성원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60년만의 붉은 닭띠 해를 맞아 가정에 행복과 행운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강원장애인복지신문은 지난 2016년 5월...

빈곤층 50만 가구, 내년부터 주거급여 혜택…‘부양의무자 기준’ 적용 제외

문재인 정부 100대 과제에 ‘부양의무자 기준 단계적 폐지’에 포함한 주거급여에 당장 2018년부터 ‘부양의무자 기준’을 적용하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교육급여에 대해서만 부양의무자 기준을...

강원도장애인생활체전 폐막…속초시 5개 종목 우승, 2년 만에 정상 탈환

“도내 장애인생활체육선수 모두 하나 돼 화합 다졌다” 속초시가 제9회 강원도장애인생활체육대회에서 2년 만에 정상 탈환에 성공했다. 속초시는 24일 속초청소년수련관 실내체육관에서 막을 내린 이번 대회에서 배드민턴, 역도, 파크골프,...

공공의료기관 수화통역사 배치 의무화

국회 이종배 의원, 장애인복지법 일부 개정안 대표발의 공공의료기관에 수화통역사를 의무 배치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국회 이종배 의원(충주)은 지난 20일 이 같은 내용의 장애인복지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은...

강원장복, 장애아돌보미 양성교육 진행

강원도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최중범)은 도내에서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정에 대한 보호자의 장애아동 돌봄 노동을 경감시키고 가족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장애아가족양육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강원장복은 장애아동 가정에...

‘2019 장애인문화예술축제 A+ Festival’ 프로그램 풍성

오는 9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의 장애인문화예술축제 ‘2019 장애인문화예술축제 A+ Festival’(이하 A+ 페스티벌)의 프로그램이 23일 공개됐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후원하는 A+...

영월군자원봉사센터, 2019 자원봉사 릴레이 출발식

                     ◇ 지난 17일 영월군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열린 2019 자원봉사 릴레이 출발식. 영월군자원봉사센터(센터장 조광희)는 지난 17일, 영월군종합사회복지관 락앤홀에서 자원봉사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 자원봉사 릴레이 출발식을...

서울시, 양양 장애인 해변캠프 개장…이용료 1인 2천원

서울시가 양양군 광진리 큰바다해수욕장에서 장애인과 가족들을 위한 ‘서울시 장애인 해변캠프’를 개장했다고 17일 밝혔다. 올해로 26회를 맞이하는 ‘장애인 해변캠프’는 오는 8월 10일까지 서울시에 거주 중인...
[td_block_social_counter facebook=”envato” twitter=”envato” youtube=”envato”]

Most Popular

올 2/4분기 장애인취업 9천500명, 사무종사자 1위

공단, ‘2020년도 2/4분기 장애인 취업동향’ 발표 올해 2/4분기 장애인 취업자수가 9천560명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고, 직종별로는 단순노무가 아닌, 사무종사자가 가장 높았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Latest reviews

춘천시 지역아동센터시설장 간담회

춘천시 지역아동센터시설장 간담회가 19일 퇴계동 음식점에서 최동용 춘천시장, 각 지역아동센터 시설장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춘천시, 행복나눔 후원릴레이 성금전달식

춘천시, 춘천시사회복지협의회, 강원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매달 어려운 이웃의 사정을 알리고 기부를 받아 지원하는 행복나눔 후원릴레이 사업으로 10일 시청에서 14호 지원자에게 성금 230만원을 전달했다.

[복지상식] 부가 부를 키우고 가난이 가난을 키운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금융·임대소득을 합친 통합소득 기준으로 상위 0.1%에 속하는 2만2000여 명이 하위 27%인 629만5000명만큼 번다. 상위 0.1% 소득자의 연평균 소득은 14억7천400만 원으로...